5·18민주화운동 44주년 기념행사위원회에 5·18 단체(부상자회·공로자회·유족회)가 참여한다. 5·18기념재단, 3단체가 긴급회의를 열고 하루 만에 입장을 번복한 것으로 시민들도 환영하고 있다. 앞으로 시민사회단체와 화합에 대한 기대도 부풀려지고 있다. 실제로 양재혁 유족회장은 갈등을 지속하고 분열된 모습을 보여드려 사죄한다고 했다.
행사위 측도 “함께 할 수 있도록 절차를 밟을 계획”이라며 감사의 뜻을 전했다. 행사위는 정부의 5·18 기념식과 별개로 전야제 등을 기획·실행하는 민간 조직이다. 반쪽 개최에 대한 우려가 컸지만 원만히 수습되는 듯해 다행스럽다. 당초에 부상자회는 집행부 구성 등 정상화가 먼저라며, 공로자회는 2·19 대국민공동선언식 사과 요구로 반대했으나 급선회했다. 지난해와 같은 파행 운영이 반복된다면 5·18을 끝없이 왜곡·폄훼하고 극우 보수세력 등에게 공격의 빌미를 줄 가능성이 높았다.
정부 차원의 진상규명조사위원회 보고서도 곳곳에서 오류가 지적되고 있다.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던 만큼 공동 대응이 절실하다. 공법단체가 빠진 채 시민사회단체 주관으로 기념행사를 치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30여년 동안 행사위에 참여한 3단체다. 민간이 주도하는 기념행사가 공식 인정받은 1993년부터 2022년까지 방향성·구성 등을 논의해왔다. 지난해는 특전사동지회가 초청된 2·19 대국민공동선언을 이유로 제명당한 바 있다.
서로 용서하고 화해의 손을 내밀어 광주의 진정한 5월을 만들어야 한다. 해묵은 갈등을 봉합해야겠다. 정부 주관 5·18 기념식에도 함께 서야 한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로 인해 기사 전체 내용 및 사진은 하단 링크를 통해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