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공원특례사업으로 아파트 개발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중앙공원1지구’에서 옛 군부대 부지가 확인돼 5·18 암매장 연관성이 주목되고 있다.
이 군부대 부지는 1980년 5·18 당시 군사통제구역 내부에 있는데다 인근 ‘백일사격장’에서는 5·18 암매장 시신 14구가 발굴된 바 있어, 암매장지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1일 광주시와 서구 등에 따르면 5·18기념재단은 지난달 25일 광주시와 서구 등에 “중앙공원1지구 공사 중 봉분, 매장 흔적, 유골 등이 발견되면 재단으로 반드시 연락해달라”는 내용의 협조 공문을 보냈다.
최근 광주시 서구 쌍촌동 454-4 일대에서 대지면적 5129㎡(1550여평) 규모의 옛 군부대 시설과 부지가 확인됐기 때문이다. 이곳은 중앙공원1지구 개발 사업을 통해 ‘어울림숲’ 공원이 조성될 공간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지난 2월 21일 민간개발자 측으로부터 군부대 건물 해체계획서를 접수받으면서 건물 존재 여부를 알게 됐다고 전했다.
해당 부지에서는 본관으로 추정되는 철근콘크리트 2층 건물과 차고, 정비고, 보일러실 등 건물 총 7개동이 확인됐다. 모두 건축물 등록대장에 등록돼 있지 않은 무허가 건물로 확인됐다.
5·18기념재단 등이 조사한 결과 건물은 1998년 국군정보사령부의 301정보부대 주둔지 조성과정에서 지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일명 ‘편의대’로 불리는 301정보부대는 1980년 당시 상무대 내에 있었으며, 장발과 사복 차림으로 민간인으로 위장해 시민들 사이에서 5·18 관련 유언비어를 퍼트림과 동시에 정보수집 활동을 했던 부대다.
이 부지 일대는 1980년 5월 당시 전교사 관할 구역이자 군사통제지역으로 민간인 출입이 완전히 통제됐던 곳으로 확인됐다. 현재 본관과 단층주택이 들어선 부지는 지난 1964년부터 국가 소유였으며, 1994년부터는 국방부 소유로 기록됐다.
5·18 기념재단과 전문가들은 해당 부지와 같은 산을 끼고 불과 300여m 떨어진 곳에 상무대 백일사격장이 있었다는 점을 주목한다.
전투교육병과사령부(전교사) 소속 상무대 백일사격장에서는 1980년 5월 29일 정수만 전 5·18유족회장의 동생을 비롯해 5·18 당시 숨진 14명의 시신이 가매장된 채 발견됐다.
더구나 해당 부지는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가 4년에 걸친 암매장 조사 과정에서도 포함되지 않은 곳이다.
5·18 관계자들은 “이 부지에서 암매장 시신이 발견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로 인해 기사 전체 내용 및 사진은 하단 링크를 통해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