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 5·18 당시 전두환 내란세력의 강경진압과 발포명령을 거부, 합동수사본부에 연행돼 혹독한 고문을 당한 후 후유증으로 시달리다 숨진 민주경찰 고 안병하 치안감의 제36주기 추모식이 열린다.
6일 안병하기념사업회에 따르면 추모식은 오는 9일 오후 2시 5·18 민주화운동교육관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안병하기념사업회, 안병하인권학교, 김사복추모사업회, 경찰청공무직노동조합이 주최한다.
추모식에는 안호재 안병하인권학교 대표가 유족으로 참석하며, 광주광역시 이상갑 문화경제부시장, 소나무당 송영길 대표, 광주광역시의회 신수정 의장, 광주광역시 교육청 최승복 부교육감, 경찰청공무직노동조합 이경민 위원장, 전국경찰직장협의회 권영환 위원장(당선자) 등이 참석해 추모사를 통해 안병하 치안감을 현양할 예정이다.
추모식은 본행사 개막 30분 전부터 식전행사를 시작, 본 행사인 추모식 후 참석자 모두가 참여하는 시민헌화 순으로 진행된다.
안병하 치안감은 1979년 2월 전남도경 국장으로 부임한 후, 1980년 5·18을 맞아 당시 전두환 내란세력의 발포명령을 거부, 5월 26일 합동수사본부에 연행되어 보안사 동빙고 분실에서 8일 동안 혹독한 고문을 당한 후 고문 후유증으로 시달리다 1988년 10월 10일 60세의 이른 나이에 통한의 죽음을 맞이했다.
이후 안병하 치안감은 2002년 광주민주화운동유공자로 선정됐고, 2005년 동작동 국립묘지 현충원 경찰묘역에 안장됐다. 이후 2006년 순직 인정을 받아서 국가유공자로 선정됐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로 인해 기사 전체 내용 및 사진은 하단 링크를 통해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