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 당시 계엄에 투입됐던 군 병력과 무장 수준이 구체적으로 확인되면서 충격을 주고 있다.
총 1천500여명의 병력이 투입됐고 권총과 기관단총, 저격용 총 등 각종 화기로 무장한 데다, 계엄군이 챙긴 실탄만 최소 1만발 이상으로 추정되면서 제2의 5·18을 기획한 것 아니냐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19일 더불어민주당 백승아 의원이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특전사령부와 수방사령부는 계엄 당시 총 107대의 군용 차량을 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병력 수송용 45인승 대형버스 26대와 25인승 중형버스 15대를 비롯, 군용 오토바이 25대, 방탄 차체 소형전술 차량 2대 등이다. 블랙호크 헬기(UH-60) 12대도 특전사 707특임단 대원들을 태워 국회로 야간 비행했다.
현재까지 확인된 계엄군은 특전사·수방사·방첩사·정보사 등 총 1천500여명 규모로 파악되고 있다. 특전사 대원이 1천139명으로 가장 많았고 적 수뇌부 제거 등 특수임무를 수행하는 특전사 707특임대 197명, 1공수여단 400명, 3공수 271명, 9공수 222명, 특수작전항공단 49명 등이다.
특전사는 당시 국회와 선거관리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당사 봉쇄 임무를 맡았다.
방첩사는 계엄 당일 국회와 선거관리위원회 과천 청사 등에 200여명을 투입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국회에 투입된 방첩사 요원 49명은 국회의원 등 주요 인사 체포조로 체포 후 서울 관악구 인근 B1 지하 벙커에 구금하는 계획까지 세운 것으로 나타났다.
수방사에선 군사경찰단과 제1경비단 소속 병력 211명이 계엄군으로 투입됐다. 이 중 61명이 사병이었다.
정보사령부는 북파공작 작전 등을 수행하는 특수요원을 포함해 총 30여명을 동원했다.
계엄군은 방탄모와 방탄조끼, 야간투시경 등 개인 장비를 갖추고 저격용 총과 K1 기관단총, 권총 등 화기로 완전 무장했다. 삼단봉과 테이저건, 무인기를 무력화할 수 있는 드론재밍건까지 휴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엄군이 불출한 실탄은 현재까지 확인된 수량만 최소 1만발이다. 특전사 707특임대(197명)는 보통탄 3천960발과 공포탄 1천980발을, 수방사(211명)는 실탄 5천48발과 공포탄 2천939발을 불출했다.
하지만 특전사 1·3·9공수여단과 방첩사는 아직 무장 수준과 실탄 불출 규모를 밝히지 않고 있다. 이들의 무장 수준이 확인될 경우 실탄 규모는 급증한 가능성이 높다.
군은 실탄을 개인별로 지급하지 않았고 차량이나 헬기 등에서 탄통에 통합 보관했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 오월단체는 “1만여발의 실탄을 준비하고 무장 군인을 동원해 국민을 상대로 전쟁을 준비한 계획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반인륜적 범죄”라며 “윤석열 대통령은 즉각 수사에 응하라”고 촉구했다.
5·18민주유공자유족회는 이날 “국민을 보호해야 할 대통령이 헌법을 짓밟고 민주주의를 부정하며 국민을 향해 총구를 겨눈 명백한 내란 행위”라며 “이 같은 만행은 1980년 광주에서 군부 독재가 국민을 학살했던 끔찍한 악몽을 떠올리게 한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5·18민주유공자유족회는 “윤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3차례에 걸쳐 5·18민주묘지를 방문해 오월 정신 헌법전문 수록을 얘기했지만 진정성이 없는 위선적 행동이었다”며 “오월 정신을 우롱해 자신의 정치적 도구로 이용하고 국민을 기만한 행태에 불과했다”고 비난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로 인해 기사 전체 내용 및 사진은 하단 링크를 통해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 0